그림파일이 아닌 이상 PC로 만든 문서는 프로그램의 버전과 종류, 워드프로세서의 옵션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.
의도한 모양과 다르게 보일 수 도 있고, 워드프로세서로 열었다면 누군가 편집을 할 수 있죠.
원본을 꼭 원본으로 전달해야 하거나, 누군가 임의로 편집을 하면 곤란한 내용일 때 우리는 PDF를 사용합니다.
특유의 폐쇄성과 보안성으로 관공서 및 각종 기업에서 '보도자료 문서'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
▲ 환경부의 보도자료, HWP를 PDF로 변환해서 배포하고 있다.
이러한 PDF파일은 보고, 읽을 때는 참 좋은데 이를 가공해서 다른 문서를 만들려면 참 폐쇄적이고 까다롭습니다.
단순히 글로만 된 내용이라면 그냥 긁어서(drag) 붙여넣으면 그만이겠습니다만, pdf파일에 든 도표를 활용해야 할 경우라면 정말...
▲ 예를 들면 이런 경우, 문서내용은 모자이크 했습니다.
물론, 돈이면 다 되는 세상이니까 친절한 adobe는 이럴 때 활용해라고 '아크로벳 프로'를 유료로 판매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제가 쓰는 버전은 너무 오래되어서인지 오류만 나고, 변환이 어렵더군요.
▲ 별로 프로답지 않은 아크로벳 프로
오늘은 이 pdf파일을 '비교적' 이쁘게 ms워드용 docx,doc 등으로 바꿔주는 웹사이트를 한 곳 소개시켜드리겠습니다. 그리고 포스팅 말미에 hwp로 바꾸는 팁도 간략히 알려드리죠.
너무 큰 기대를 하지는 마시구요.
그냥 참고삼아 읽고 넘어가신다면 언젠가 도움이 되실지도 모르겠습니다.
구글에서 'pdf to doc'라고 검색을하면 10여개의 사이트가 나옵니다만 제가 테스트 한 문서를 정상적으로 바꿔서 저장해 준 곳은 딱 하나!
convertonlinefree.com(link)이었습니다.
▲ 사이트는 많이 나오지만 잘 되는 곳은 별로 없어요.
이 사이트는 사용법도 간단합니다.
아래 사진은 '사용예'입니다. 참고하여 파일을 변환하고,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.
▲ 필요한 순서대로 클릭하고..
▲ 기다렸다가...
▲ 다운 받으면 끝
표인식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편집해서 써먹을 정도는 됩니다.
워드 확장자인 DOC, DOCX로 바꾸는 방법은 위 이미지들을 참고하시면 됩니다.
한글(HWP)로는 어떻게 바꾸냐구요?
DOC, DOCX파일은 한글(한글2010 등)에서 원래 열립니다.
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완벽한 모양은 아니지만 조금 수정해서 '다른이름으로 저장'하면 끝, 참쉽죠?